DesignPatternSmalltalkCompanion:2.1: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From 흡혈양파의 번역工房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DPSC 2.1장면:혼란에빠지다 페이지 추가)
 
(검수 20180724)
 
(One intermediate revision by the same user not shown)
Line 4: Line 4:




{| style="border: none; width:100%;"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저기, 제인, 혹시 이 문제 좀 도와줄 수 있을까? 몇 일간 이 요구문서(requirements document)를 보고 있는데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어서 말이야.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그래, 그러지 뭐. 뭐가 문제야?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이게 바로 내가 요청 받은 보험청구처리 작업흐름 시스템인데 말이야. 객체들이 어떻게 작동할지 알 수가 없어. 시스템에서 기본 객체는 찾았다고 생각되는데 객체의 행위를 어떻게 이해를 할지 모르겠어.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여태까지 한 작업을 보여줄래?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여기, 요구문서1 중에 문제가 되는 부분을 보여줄게.


돈⊗ 저기, 제인, 혹시 이 문제 좀 도와줄 수 있을까? 몇 일간 이 요구문서(requirements document)를 보고 있는데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어서 말이야.
# ''데이터 입력.'' 다양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소스로부터 건강보험청구가 수신된다. 이는 모두 유일한 식별자를 할당함으로써 기록된다. 보험청구 문서와 지원문서가 스캔된다. 스캔된 보험청구 문서와 팩스는 OCR(광학식 문자 인식)로 처리되어 각 양식 필드('''form field''')와 관련된 데이터를 읽어낸다.
 
# ''유효성 검사''. 스캔되어 입력된 양식은 일관성 있고 완벽하게 기입되었는지 보장받기 위해 유효성 검사를 거친다. 불완전하거나 부적절하게 기입된 양식은 시스템에 의해 거부되고, 청구자에게 재접수 요청이 전송된다.
제인⊗ 그래, 그러지 뭐. 뭐가 문제야?
 
돈⊗ 이게 바로 내가 요청 받은 보험청구처리 작업흐름 시스템인데 말이야. 객체들이 어떻게 작동할지 알 수가 없어. 시스템에서 기본 객체는 찾았다고 생각되는데 객체의 행위를 어떻게 이해를 할지 모르겠어.
 
제인⊗ 여태까지 한 작업을 보여줄래?
 
돈⊗ 여기, 요구문서1 중에 문제가 되는 부분을 보여줄게.
 
# ''데이터 입력.'' 다양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소스로부터 건강보험청구가 수신된다. 이는 모두 유일한 식별자를 할당함으로써 로그된다. 보험청구 문서와 지원문서가 스캔된다. 스캔된 보험청구 문서와 팩스는 OCR(광학식 문자 인식)로 처리되어 각 양식 필드('''form field''')와 관련된 데이터를 읽어낸다.
# ''유효성 검사''. 스캔되어 입력된 양식은 일관성 있고 완벽하게 기입되었는지 보장하기 위해 유효성 검사를 거친다. 불완전하거나 부적절하게 기입된 양식은 시스템에 의해 거부되어 청구자에게 재접수 요청이 전송된다.
# ''제공자/보험의 일치''. 자동화된 처리에 의해 보험청구에 기입된 보험 (현재 지급하려는 보험청구의 계약) 및 의료보험 제공자(예: 의사)와 전체적인 보험청구처리기관과 계약한 제공자들 중 일치하는 결과를 찾기 시작한다. 정확하게 일치하는 결과가 없을 경우, 프로그램은 사운덱스 기술을 (Soundex technology; 유사한 발음의 단어를 찾아내는 알고리즘) 바탕으로 가장 비슷한 결과를 확인한다. 시스템이 가능성 있는 결과를 일치성이 높은 순으로 정리하여 정보 취급자에게 보여주면 그는 정확한 제공자를 식별한다.
# ''제공자/보험의 일치''. 자동화된 처리에 의해 보험청구에 기입된 보험 (현재 지급하려는 보험청구의 계약) 및 의료보험 제공자(예: 의사)와 전체적인 보험청구처리기관과 계약한 제공자들 중 일치하는 결과를 찾기 시작한다. 정확하게 일치하는 결과가 없을 경우, 프로그램은 사운덱스 기술을 (Soundex technology; 유사한 발음의 단어를 찾아내는 알고리즘) 바탕으로 가장 비슷한 결과를 확인한다. 시스템이 가능성 있는 결과를 일치성이 높은 순으로 정리하여 정보 취급자에게 보여주면 그는 정확한 제공자를 식별한다.
# ''자동 판정''. 시스템은 보험청구금액을 지급할 수 있는지와, 보험청구와 관련된 주요 데이터 항목 간에 비일관성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조건에 한해 얼만큼 지급하는지를 결정한다. 비일관성이 발견될 경우 시스템은 적절한 보험청구 심사에 의한 처리를 받을 수 있도록 보험청구를 “보류('''pend''')”한다.
# ''자동 판정''. 시스템은 보험청구금액을 지급할 수 있는지와, 보험청구와 관련된 주요 데이터 항목 간에 비일관성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조건에 한해 얼만큼 지급하는지를 결정한다. 비일관성이 발견될 경우 시스템은 적절한 보험청구 심사에 의한 처리를 받을 수 있도록 보험청구를 "보류('''pend''')"한다.
# ''보류된 보험청구의 심사''. 심사관은 보험청구 이력 또는 청구서 원본의 제출을 확인하기 위해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심사관은 지급액에 대한 보험청구를 허락하여 적절한 지급액을 명시하거나 보험청구를 거부하는 답변서('''correspondence''')를 생성시킨다.
# ''보류된 보험청구의 심사''. 심사관은 보험청구 이력 또는 청구서 원본의 제출을 확인하기 위해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심사관은 지급액에 대한 보험청구를 허락하여 적절한 지급액을 명시하거나 보험청구를 거부하는 답변서('''correspondence''')를 생성시킨다.


나머지 시스템이 중심으로 다루는 “Claim”이 있는 걸 확인했거든. 근데 방해가 되는 요소는 바로 Claim이 사람마다 다르단 점이야! Claim에 작업할 때 내가 대화하는 상대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것 같아. 매번 책임성을 확인했다고 생각할 때마다 또 새로운 것이 나타나. 뿐만 아니라 “재량껏 수정하세요”나 “아끼세요”와 같이 Claim에 대한 단순한 책임성은 작업흐름의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 같아.  
나머지 시스템이 중심으로 다루는 "Claim"이 있는 걸 확인했거든. 근데 방해가 되는 요소는 바로 Claim이 사람마다 다르단 점이야! Claim에 작업할 때 내가 대화하는 상대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것 같아. 매번 책임성을 확인했다고 생각할 때마다 또 새로운 것이 나타나. 뿐만 아니라 "재량껏 수정하세요"나 "아끼세요"와 같이 Claim에 대한 단순한 책임성은 작업흐름의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 같아.  
 
|-
제인⊗ 으음. 나도 이런 걸 읽은 적이 있는데. 한 번 찾아볼게. ''[그녀는 그녀의 책상에 놓인 서류를 바스락거린다]'' 어, 찾았다. Object Magazine 이번 호에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State 패턴을 이용하는 데 관한 기사가 하나 있어.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으음. 나도 이런 걸 읽은 적이 있는데. 한 번 찾아볼게. ''[그녀는 그녀의 책상에 놓인 서류를 바스락거린다]'' 어, 찾았다. Object Magazine 이번 호에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State 패턴을 이용하는 데 관한 기사가 하나 있어.
돈⊗ 내 말을 뭘로 들은 거야? 이건 주문 관리 시스템이 아니라 보험청구 처리 시스템이야.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제인⊗ 알고 있어, 그치만 저자가 State 패턴을 작업흐름 문제에 적용시킨 방법이 재밌어. ''[잡지를 뒤적인다]'' 그래, 여기 기사야. ''[기사를 훑어본다]'' 흐음…그렇지…Claim이 위치할 수 있는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state transition diagram''')을 그려봤어?
| 내 말을 뭘로 들은 거야? 이건 주문 관리 시스템이 아니라 보험청구 처리 시스템이야.
 
|-
돈⊗ ''[놀란다]''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 아니, 그건 생각을 못해봤어. 그걸 왜 그려야 하지?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알고 있어, 그치만 저자가 State 패턴을 작업흐름 문제에 적용시킨 방법이 재밌어. ''[잡지를 뒤적인다]'' 그래, 여기 기사야. ''[기사를 훑어본다]'' 흐음…그렇지…Claim이 위치할 수 있는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state transition diagram''')을 그려봤어?
제인⊗ 이렇게 되는 거야. 작업흐름 실행은 State 간에 전이가 발생하는 거야. 각 Claim은 마지막에 발생한 일에 따라 그것이 위치할 수 있는 상태의 집합을 가져. 예를 들어서 네 작업흐름에서 첫 항목이 뭐지?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돈⊗ 데이터 엔트리.
| ''[놀란다]''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 아니, 그건 생각을 못해봤어. 그걸 왜 그려야 하지?
 
|-
제인⊗ 그 다음은?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이렇게 되는 거야. 작업흐름 실행은 State 간에 전이가 발생하는 거야. 각 Claim은 마지막에 발생한 일에 따라 그것이 위치할 수 있는 상태의 집합을 가져. 예를 들어서 네 작업흐름에서 첫 항목이 뭐지?
돈⊗ 유효성 검사.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제인⊗ 그럼 모든 Claim이 유효성 검사로 통과하는 거야?
| 데이터 엔트리.
 
|-
돈⊗ 아니. 일부는 유효성 검사단계에서 거부 돼. 통과하는 경우에만 보험과 보험 제공자에 일치하는 결과를 찾지.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그 다음은?
제인⊗ 그럼 다이어그램을 이렇게 그려보겠어? ''[제인이 펜과 종이를 들어 다음의 다이어그램을 그린다.]''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유효성 검사.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그럼 모든 Claim이 유효성 검사로 통과하는 거야?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아니. 일부는 유효성 검사단계에서 거부 돼. 통과하는 경우에만 보험과 보험 제공자에 일치하는 결과를 찾지.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그럼 다이어그램을 이렇게 그려보겠어? ''[제인이 펜과 종이를 들어 다음의 다이어그램을 그린다.]''
|}


[[image:dpsc_2.1_01.png]]
[[image:dpsc_2.1_01.png]]


돈⊗ ''[조심스럽게]'' 응, 해볼 순 있지. 이걸로 뭘 하는거지?  
{| style="border: none; width:100%;"
 
|-
제인⊗ 그냥 시키는대로 따라해 봐. 작업흐름에서 다음 단계는 뭐야?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style="text-align:left;float:left;" | ''[조심스럽게]'' 응, 해볼 순 있지. 이걸로 뭘 하는거지?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style="text-align:left;float:left;" | 그냥 시키는대로 따라해 봐. 작업흐름에서 다음 단계는 뭐야?  
|}


''[두 사람은 작업흐름의 모든 단계를 그려 마침내 다음과 같은 다이어그램이 완성되었다.]''
''[두 사람은 작업흐름의 모든 단계를 그려 마침내 다음과 같은 다이어그램이 완성되었다.]''
Line 55: Line 78:
[[image:dpsc_2.1_02.png]]
[[image:dpsc_2.1_02.png]]


돈⊗ 좋아.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이 완성됐어. 그런데 이 그림이 어떻게 Claim 작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단 말이지?
{| style="border: none; width:100%;"
 
|-
제인⊗ 글쎄, 기사에선 State 디자인 패턴을 작업흐름 객체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고 나와 있어. 이전 다이어그램에 있는 각 State가 클래스가 될거야. Claim은 State 클래스 중 하나의 인스턴스로 변경 돼. 네 설계는 이런 모양이겠지: ''[제인은 새 용지로 넘겨 다음 페이지에 그려진 OMT 다이어그램을 그린다]''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좋아.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이 완성됐어. 그런데 이 그림이 어떻게 Claim 작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단 말이지?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글쎄, 기사에선 State 디자인 패턴을 작업흐름 객체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고 나와 있어. 이전 다이어그램에 있는 각 State가 클래스가 될거야. Claim은 State 클래스 중 하나의 인스턴스로 변경 돼. 네 설계는 이런 모양이겠지: ''[제인은 새 용지로 넘겨 다음 페이지에 그려진 OMT 다이어그램을 그린다]''
|}


[[image:dpsc_2.1_03.png]]
[[image:dpsc_2.1_03.png]]


돈⊗ 다시 묻지만 이게 어떻게 도움이 된단 말이지?
{| style="border: none; width:100%;"
 
|-
제인⊗ ''[소리 없이 활짝 웃으며]'' 거의 다 돼가! 자, 네가 겪는 문제 중 하나는, 작업흐름 내에 보험청구의 위치에 따라 “수정”의 의미가 변한다는 거였지?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다시 묻지만 이게 어떻게 도움이 된단 말이지?
돈⊗ ''[대화의 중심이 본인 문제로 돌아갔다는 사실에 기뻐하며]'' 맞아. 예를 들어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람은 이런 UI('''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게 돼 ''[인터페이스 그림 하나를 보여준다]''. 반대로 시스템이 보험과 제공자에 일치하는 결과를 찾지 못하면 이런 화면이 나타나 ''[두 번째 그림을 보여준다]''. 그리고 보험청구를 조정해야 하는 심사관은 이런 화면을 보게 돼 ''[세 번째 그림을 보여준다]''. 이 중 어떤 화면을 보여줘야 하는지가 문제야.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제인⊗ 음, 그렇다면 “수정”을 위한 코드를 Claim이 속하는 아래쪽 특정 State로 위임하는 것이 네 일이야. 여길 예로 들어보자 ''[클래스 다이어그램에서 Entered 상태를 가리킨다]''. Claim이 이 상태에 있다면 네가 방금 나에게 보여준 첫 번째 화면으로 돌아가는 거야. Claim이 MatchPended 상태에 있으면 두 번째 화면으로, 그리고 AdjudicationPending 상태에 있으면 마지막 화면으로 돌아가는 거야. Claim은 어떤 화면을 표시해야 할 지 알아내기 위해 해당 State에서 화면을 요청한 후 그 UI에게 화면을 열도록 시키는 거지.
| ''[소리 없이 활짝 웃으며]'' 거의 다 돼가! 자, 네가 겪는 문제 중 하나는, 작업흐름 내에 보험청구의 위치에 따라 "수정"의 의미가 변한다는 거였지?
 
|-
돈⊗ ''[부드럽게]''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간단하네. 난 어떤 사람이 Claim을 마지막으로 실행했는지 확인한 후에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조건 코드가 훨씬 많을 거라고 예상했거든. 이 방법이 훨씬 간단하구나.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대화의 중심이 본인 문제로 돌아갔다는 사실에 기뻐하며]'' 맞아. 예를 들어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람은 이런 UI('''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게 돼 ''[인터페이스 그림 하나를 보여준다]''. 반대로 시스템이 보험과 제공자에 일치하는 결과를 찾지 못하면 이런 화면이 나타나 ''[두 번째 그림을 보여준다]''. 그리고 보험청구를 조정해야 하는 심사관은 이런 화면을 보게 돼 ''[세 번째 그림을 보여준다]''. 이 중 어떤 화면을 보여줘야 하는지가 문제야.
제인⊗ 이것이 바로 디자인 패턴의 힘이라고 할 수 있지.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돈⊗ 조금 전에도 그 말을 언급했지? 대체 무슨 뜻이야?
| 음, 그렇다면 "수정"을 위한 코드를 Claim이 속하는 아래쪽 특정 State로 위임하는 것이 네 일이야. 여길 예로 들어보자 ''[클래스 다이어그램에서 Entered 상태를 가리킨다]''. Claim이 이 상태에 있다면 네가 방금 나에게 보여준 첫 번째 화면으로 돌아가는 거야. Claim이 MatchPended 상태에 있으면 두 번째 화면으로, 그리고 AdjudicationPending 상태에 있으면 마지막 화면으로 돌아가는 거야. Claim은 어떤 화면을 표시해야 할 지 알아내기 위해 해당 State에서 화면을 요청한 후 그 UI에게 화면을 열도록 시키는 거지.
 
|-
제인⊗ 디자인 패턴은 계속해서 발견되는 디자인 문제에 대해 반복해 사용하는 해법 접근법이야. '''디자인 패턴'''이라는 책도 있지. 이 책은 23개의 패턴을 구축하고 있는데, 각 패턴은 특정 클래스의 문제에 객체 기반의 해법을 제시하고 있어.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부드럽게]''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간단하네. 난 어떤 사람이 Claim을 마지막으로 실행했는지 확인한 후에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조건 코드가 훨씬 많을 거라고 예상했거든. 이 방법이 훨씬 간단하구나.
돈⊗ ''[믿지 못하겠다는 듯]'' 그럼 이 책에 내 문제에 대한 답이 모두 있단 뜻이야?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이것이 바로 디자인 패턴의 힘이라고 할 수 있지.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조금 전에도 그 말을 언급했지? 대체 무슨 뜻이야?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디자인 패턴은 계속해서 발견되는 디자인 문제에 대해 반복해서 사용되는 해법에 대한 접근법이야. '''디자인 패턴'''이라는 책도 있지. 이 책은 23개의 패턴을 구축하고 있는데, 각 패턴은 특정 클래스의 문제에 객체 기반의 해법을 제시하고 있어.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믿지 못하겠다는 듯]'' 그럼 이 책에 내 문제에 대한 답이 모두 있단 뜻이야?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그런 건 아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문제와 해법을 몇 가지씩 소개하고 있어. 방금 우리가 이야기한 해법은 State 패턴이라고 불러. 각 패턴은 패턴이 만들어진 의도를 설명하는 문장으로 시작해. State 패턴은, "객체의 내부 상태에 따라 객체가 행위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어. 네 Claim에 필요한 패턴이라고 생각하지 않니?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듣고 보니 그러네. 하지만 네가 이런 말을 하기 전엔 생각도 못했을 거야. 내게 이 패턴이 필요할지는 어떻게 알지?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제인:
| 기사를 읽었던 것이 행운이었어. 하지만 '''디자인 패턴'''에 소개된 패턴들에 좀 더 익숙해지고 나니 어떻게 새로운 문제에 더 쉽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가 눈에 보여. 빌려줄까?
|-
| style="text-align:right;width:40px;float:left;" | 돈:
| 아니, 지금은 됐어. 이 새로운 설계를 쓰기 시작했거든. 나중에 빌려 갈게. 도와줘서 고마워!
|}


제인⊗ 그런 건 아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문제와 해법을 몇 가지씩 소개하고 있어. 방금 우리가 이야기한 해법은 State 패턴이라고 불러. 각 패턴은 패턴이 만들어진 의도를 설명하는 문장으로 시작해. State 패턴은, “객체의 내부 상태에 따라 객체가 행위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어. 네 Claim에 필요한 패턴이라고 생각하지 않니? 돈⊗ 듣고 보니 그러네. 하지만 네가 이런 말을 하기 전엔 생각도 못했을 거야. 내게 이 패턴이 필요할지는 어떻게 알지?


제인⊗ 기사를 읽었던 것이 행운이었어. 하지만 '''디자인 패턴'''에 소개된 패턴들에 좀 더 익숙해지고 나니 어떻게 새로운 문제에 더 쉽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가 눈에 보여. 빌려줄까?


돈⊗ 아니, 지금은 됐어. 이 새로운 설계를 쓰기 시작했거든. 나중에 빌려 갈게. 도와줘서 고마워!
[[Category:DesignPatternSmalltalkCompanion]]
[[Category:DesignPatternSmalltalkCompanion]]

Latest revision as of 09:19, 24 July 2018

2.1 장면 1: 혼란에 빠지다

이 이야기는 피로한 기색이 역력한 돈이 조용히 앉아 키보드를 치고 있는 제인의 칸막이 사무실로 다가가는 장면부터 시작된다.


돈: 저기, 제인, 혹시 이 문제 좀 도와줄 수 있을까? 몇 일간 이 요구문서(requirements document)를 보고 있는데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어서 말이야.
제인: 그래, 그러지 뭐. 뭐가 문제야?
돈: 이게 바로 내가 요청 받은 보험청구처리 작업흐름 시스템인데 말이야. 객체들이 어떻게 작동할지 알 수가 없어. 시스템에서 기본 객체는 찾았다고 생각되는데 객체의 행위를 어떻게 이해를 할지 모르겠어.
제인: 여태까지 한 작업을 보여줄래?
돈: 여기, 요구문서1 중에 문제가 되는 부분을 보여줄게.
  1. 데이터 입력. 다양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소스로부터 건강보험청구가 수신된다. 이는 모두 유일한 식별자를 할당함으로써 기록된다. 보험청구 문서와 지원문서가 스캔된다. 스캔된 보험청구 문서와 팩스는 OCR(광학식 문자 인식)로 처리되어 각 양식 필드(form field)와 관련된 데이터를 읽어낸다.
  2. 유효성 검사. 스캔되어 입력된 양식은 일관성 있고 완벽하게 기입되었는지 보장받기 위해 유효성 검사를 거친다. 불완전하거나 부적절하게 기입된 양식은 시스템에 의해 거부되고, 청구자에게 재접수 요청이 전송된다.
  3. 제공자/보험의 일치. 자동화된 처리에 의해 보험청구에 기입된 보험 (현재 지급하려는 보험청구의 계약) 및 의료보험 제공자(예: 의사)와 전체적인 보험청구처리기관과 계약한 제공자들 중 일치하는 결과를 찾기 시작한다. 정확하게 일치하는 결과가 없을 경우, 프로그램은 사운덱스 기술을 (Soundex technology; 유사한 발음의 단어를 찾아내는 알고리즘) 바탕으로 가장 비슷한 결과를 확인한다. 시스템이 가능성 있는 결과를 일치성이 높은 순으로 정리하여 정보 취급자에게 보여주면 그는 정확한 제공자를 식별한다.
  4. 자동 판정. 시스템은 보험청구금액을 지급할 수 있는지와, 보험청구와 관련된 주요 데이터 항목 간에 비일관성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조건에 한해 얼만큼 지급하는지를 결정한다. 비일관성이 발견될 경우 시스템은 적절한 보험청구 심사에 의한 처리를 받을 수 있도록 보험청구를 "보류(pend)"한다.
  5. 보류된 보험청구의 심사. 심사관은 보험청구 이력 또는 청구서 원본의 제출을 확인하기 위해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심사관은 지급액에 대한 보험청구를 허락하여 적절한 지급액을 명시하거나 보험청구를 거부하는 답변서(correspondence)를 생성시킨다.

나머지 시스템이 중심으로 다루는 "Claim"이 있는 걸 확인했거든. 근데 방해가 되는 요소는 바로 Claim이 사람마다 다르단 점이야! Claim에 작업할 때 내가 대화하는 상대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것 같아. 매번 책임성을 확인했다고 생각할 때마다 또 새로운 것이 나타나. 뿐만 아니라 "재량껏 수정하세요"나 "아끼세요"와 같이 Claim에 대한 단순한 책임성은 작업흐름의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 같아.

제인: 으음. 나도 이런 걸 읽은 적이 있는데. 한 번 찾아볼게. [그녀는 그녀의 책상에 놓인 서류를 바스락거린다] 어, 찾았다. Object Magazine 이번 호에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State 패턴을 이용하는 데 관한 기사가 하나 있어.
돈: 내 말을 뭘로 들은 거야? 이건 주문 관리 시스템이 아니라 보험청구 처리 시스템이야.
제인: 알고 있어, 그치만 저자가 State 패턴을 작업흐름 문제에 적용시킨 방법이 재밌어. [잡지를 뒤적인다] 그래, 여기 기사야. [기사를 훑어본다] 흐음…그렇지…Claim이 위치할 수 있는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state transition diagram)을 그려봤어?
돈: [놀란다]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 아니, 그건 생각을 못해봤어. 그걸 왜 그려야 하지?
제인: 이렇게 되는 거야. 작업흐름 실행은 State 간에 전이가 발생하는 거야. 각 Claim은 마지막에 발생한 일에 따라 그것이 위치할 수 있는 상태의 집합을 가져. 예를 들어서 네 작업흐름에서 첫 항목이 뭐지?
돈: 데이터 엔트리.
제인: 그 다음은?
돈: 유효성 검사.
제인: 그럼 모든 Claim이 유효성 검사로 통과하는 거야?
돈: 아니. 일부는 유효성 검사단계에서 거부 돼. 통과하는 경우에만 보험과 보험 제공자에 일치하는 결과를 찾지.
제인: 그럼 다이어그램을 이렇게 그려보겠어? [제인이 펜과 종이를 들어 다음의 다이어그램을 그린다.]

Dpsc 2.1 01.png

돈: [조심스럽게] 응, 해볼 순 있지. 이걸로 뭘 하는거지?
제인: 그냥 시키는대로 따라해 봐. 작업흐름에서 다음 단계는 뭐야?

[두 사람은 작업흐름의 모든 단계를 그려 마침내 다음과 같은 다이어그램이 완성되었다.]

Dpsc 2.1 02.png

돈: 좋아.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이 완성됐어. 그런데 이 그림이 어떻게 Claim 작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단 말이지?
제인: 글쎄, 기사에선 State 디자인 패턴을 작업흐름 객체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고 나와 있어. 이전 다이어그램에 있는 각 State가 클래스가 될거야. Claim은 State 클래스 중 하나의 인스턴스로 변경 돼. 네 설계는 이런 모양이겠지: [제인은 새 용지로 넘겨 다음 페이지에 그려진 OMT 다이어그램을 그린다]

Dpsc 2.1 03.png

돈: 다시 묻지만 이게 어떻게 도움이 된단 말이지?
제인: [소리 없이 활짝 웃으며] 거의 다 돼가! 자, 네가 겪는 문제 중 하나는, 작업흐름 내에 보험청구의 위치에 따라 "수정"의 의미가 변한다는 거였지?
돈: [대화의 중심이 본인 문제로 돌아갔다는 사실에 기뻐하며] 맞아. 예를 들어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람은 이런 UI(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게 돼 [인터페이스 그림 하나를 보여준다]. 반대로 시스템이 보험과 제공자에 일치하는 결과를 찾지 못하면 이런 화면이 나타나 [두 번째 그림을 보여준다]. 그리고 보험청구를 조정해야 하는 심사관은 이런 화면을 보게 돼 [세 번째 그림을 보여준다]. 이 중 어떤 화면을 보여줘야 하는지가 문제야.
제인: 음, 그렇다면 "수정"을 위한 코드를 Claim이 속하는 아래쪽 특정 State로 위임하는 것이 네 일이야. 여길 예로 들어보자 [클래스 다이어그램에서 Entered 상태를 가리킨다]. Claim이 이 상태에 있다면 네가 방금 나에게 보여준 첫 번째 화면으로 돌아가는 거야. Claim이 MatchPended 상태에 있으면 두 번째 화면으로, 그리고 AdjudicationPending 상태에 있으면 마지막 화면으로 돌아가는 거야. Claim은 어떤 화면을 표시해야 할 지 알아내기 위해 해당 State에서 화면을 요청한 후 그 UI에게 화면을 열도록 시키는 거지.
돈: [부드럽게]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간단하네. 난 어떤 사람이 Claim을 마지막으로 실행했는지 확인한 후에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조건 코드가 훨씬 많을 거라고 예상했거든. 이 방법이 훨씬 간단하구나.
제인: 이것이 바로 디자인 패턴의 힘이라고 할 수 있지.
돈: 조금 전에도 그 말을 언급했지? 대체 무슨 뜻이야?
제인: 디자인 패턴은 계속해서 발견되는 디자인 문제에 대해 반복해서 사용되는 해법에 대한 접근법이야. 디자인 패턴이라는 책도 있지. 이 책은 23개의 패턴을 구축하고 있는데, 각 패턴은 특정 클래스의 문제에 객체 기반의 해법을 제시하고 있어.
돈: [믿지 못하겠다는 듯] 그럼 이 책에 내 문제에 대한 답이 모두 있단 뜻이야?
제인: 그런 건 아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문제와 해법을 몇 가지씩 소개하고 있어. 방금 우리가 이야기한 해법은 State 패턴이라고 불러. 각 패턴은 패턴이 만들어진 의도를 설명하는 문장으로 시작해. State 패턴은, "객체의 내부 상태에 따라 객체가 행위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어. 네 Claim에 필요한 패턴이라고 생각하지 않니?
돈: 듣고 보니 그러네. 하지만 네가 이런 말을 하기 전엔 생각도 못했을 거야. 내게 이 패턴이 필요할지는 어떻게 알지?
제인: 기사를 읽었던 것이 행운이었어. 하지만 디자인 패턴에 소개된 패턴들에 좀 더 익숙해지고 나니 어떻게 새로운 문제에 더 쉽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가 눈에 보여. 빌려줄까?
돈: 아니, 지금은 됐어. 이 새로운 설계를 쓰기 시작했거든. 나중에 빌려 갈게. 도와줘서 고마워!